게임이 시작되기까지 플로우
1. 게임 앱의 초기화 : UGameInstance::Init()
2. 레벨에 속한 액터의 초기화 : AActor::PostInitializeComponents()
3. 플레이어의 로그인 : AGameMode::PostLogin
4. 게임 시작 : AGameMode::StartPlay(), AActor::BeginPlay()
1. GameModeBase 클래스를 상속받는 액터 생성.
클래스 생성 후 제작한 게임모드를 현재 레벨에만 적용하려면 월드세팅 윈도우에서 Game Mode 섹션에 있는 GameMode Override항목을 누른 후 제작한 게임모드를 선택하면 된다.
2. 게임모드에 폰을 지정하기.
게임모드 클래스의 소스파일에 지정할 폰의 헤더파일을 추가해주고, 다음과 같이 폰을 지정해준다.
DefaultPawnClass = AMyPawn::StaticClass();
이때 폰 액터를 생성하고 이를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폰의 클래스 정보를 지정했다는 점에 주목하자.
StaticClass() : 언리얼 오브젝트의 클래스 정보는 언리얼 헤더 툴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며, 이는 언리얼 오브젝트마다 자동으로 생성된 StaticClass라는 스태틱 함수를 호출해 가져올 수 있다.
'UE4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UE4] PlayerController (0) | 2022.09.26 |
---|---|
[UE4] 언리얼 코딩 표준 (0) | 2022.09.26 |
[UE4] 언리얼의 이벤트 함수 (2) | 2022.09.26 |
[이득우 책] CHAPTER 12 오류발견 (0) | 2022.08.24 |
[UE4] LNK2001 LNK2019 ERROR 해결법 (0) | 2022.08.11 |